앱스토어 등록 일지 02. github 저장소에 프로젝트 푸시하기
이번에는 생성했던 프로젝트를 Github 저장소에 올릴 것이다.
저번에 개발에 필요한 프로그램들을 설치하고, React Native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가상 디바이스에 연결하는 것까지 해보았다. 근데 이 프로젝트를 로컬에 둔다면 다른 곳에서 개발을 이어서 할 수 없기 때문에 어느 곳에서나 같은 환경으로 개발을 할 수 있도록 github 저장소에 프로젝트를 올리려고 한다.
깃 설치
일단 깃을 설치해야 한다. 나는 git bash를 사용한다. 얘도 리눅스 명령어를 윈도우에서 쓸 수 있게 해준다.
아래 링크에서 간단하게 windows 버전으로 설치하면 된다.
Git
git-scm.com
설치가 끝나고 cmd에서 git만 쳐서 확인하면 이렇게 설명이 나오는데 그럼 잘 깔린 것이다.
새 저장소 만들기
깃헙에 들어가서 로그인을 한 뒤 내 레포지토리로 간다.
우측 상단에 초록색 New 버튼을 클릭한다. (이미지에서 prvate 프로젝트는 모자이크 처리했다.)
그럼 이렇게 레포지토리 생성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에 Repository name, Description(선택)을 적어주고 전체공개(Public)할 것인지, 비공개(Private)할 것인지 선택한 뒤 Create repository를 눌러 생성해준다.
이 다음에 생성된 레포지토리에 프로젝트를 넣어줄 것이다.
여기에서 주소를 복사해주고 진행중이던 프로젝트에 들어간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devdk9695"
git config --global user.email "devdk9695@gmail.com"
만약 깃 config 정보를 입력하지 않았다면 이렇게 정보를 초기화 해주고
git init
git add .
git commit -m "Initial commit"
git remote add origin {{ 복사한 레포지토리 주소 붙여넣기 }}
// 브랜치 명 확인 후 둘 중 하나
git push -u origin master
git push -u origin main
해당 순서로 진행해주면 프로젝트가 레포지토리에 들어가게 된다. 예전에 레포지토리를 생성하면 master였던 default branch가 요즘은 main으로 설정되는 것 같다.
이렇게 해준 뒤 github에 들어가보면 파일들이 잘 올라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커밋 내역에 커밋도 잘 찍혀있다.
새로운 컴퓨터에서 프로젝트를 이어하기 위해서는 다시 레포지토리 주소를 복사한 뒤 원하는 위치에서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준다.
git clone {{ 복사한 레포지토리 주소 }}
이제 어디서든 이 프로젝트에 접근할 수 있다. 나중에 카페가서 작업해야지 ㅎㅎ